더불어쉼, 건강한 삶, 지금여기

열린마당

활동갤러리

[추천사] 호모쿠란스, 돌보는 인간이 온다
  • 관리자
  • 2025-01-20
  • 184

 

 

목차

  • 여는 글

    제1부 돌보는 인간이 온다

    1장 모시는 사람, 호모 쿠란스(Homo Curans): 돌봄 시대의 신인간학(新人間學) /박길수
    프롤로그
    1. 돌봄, 한울로서 한울을 모시는 사람
    2. 모시는 것은 섬기는 것이다
    3. 돌보다, 섬기다, 공경하다, 효도하다
    4. 돌봄의 인간학 : 호모 카렌스에서 호모 쿠란스로
    5. 나는 돌본다, 그러므로 나는 있다
    에필로그 : 나는 누구인가, 왜 여기에 있는가

    2장 김지하의 ‘명(冥)의 생명사상’과 죽음의 돌봄 /주요섭
    1. 나는 ‘나의 죽음’을 어떻게 돌볼 수 있을까?
    2. 죽음의 생명사상
    3. 활동하는 무(無)
    4. ‘죽음의 돌봄’, 어떻게 할 것인가?
    5. 북두칠성 되기

    3장 연결된 사회에서 돌봄의 마음과 실천 /유정길
    1. 순환 사회의 돌봄 노동
    2. 사물돌봄 : 모든 존재는 우주적 생명
    3. 연결된 세계에서 모두가 나
    4. 수많은 돌봄 속에 살고 있는 삶
    5. 돌봄 사회로의 전환 동력 : 감사하기
    6. 이미 충분한 지족(知足)의 삶
    7. 돌봄의 가치 : 평등 넘어의 불평등
    8. 보은의 삶과 돌봄의 실천 : 은혜 갚기, 빚 갚기
    9. 다양한 돌봄의 마음과 자세
    10. 마무리하면서

    4장 인류세의 의복 돌봄: 알면 수선한다 /우석영
    1. 옷은 직물이고, 직물은 돌본다
    2. 시선을 매혹하는 자는 누구인가?
    3. 물리적으로 돌보는 자는 누구인가? : 지구적 동족의 돌봄
    4. 옷의 지옥 속에서 생각하는 의복 돌봄
    5. 수선 공예 : 영적 회복과 성숙의 길

    5장 시각적 자기돌봄: 이제는 비주얼 리터러시 /신현경
    1. 추마시 동굴벽화에서
    2. 왜 생명학으로서 시각적 자기 돌봄인가?
    3. 근대 데카르트 관점과 심리 : 좌뇌 시각의 작란
    4. 근대 교육의 부작용
    5. 분리하는 데카르트 관점에 의한 주변화
    6. 나쁜 눈을 극복하기 위한 비주얼 리터러시
    7. 구석기 후기 동굴벽화의 생명성과 한국미술
    8. 과정으로서의 미술/교육, 아트잉의 시각적 자기 돌봄
    9. 일상으로서의 미술, 미학적 인간으로서의 시각적 자기돌봄
    10. 이제 다시 시작이다

    제2부 돌보는 사회를 꿈꾼다

    6장 마을 돌봄을 위한 유쾌한 상상 /윤호창
    1. 외화내빈의 한국 사회
    2. 해체되는 공동체와 마을
    3. 유쾌한 상상 : 마을 자치로 마을 돌봄을

    7장 4km 돌봄: 내일도 누군가와 또 누군가에게 기대어 살 수 있기를 /이무열
    1. 지역의 해체와 돌봄의 해체라는 비극
    2. 지역의 회복과 돌봄의 회복이라는 희극
    3. 4km 돌봄의 재발명

    8장 좋은 돌봄과 한 살림 /임채도
    1. 보편적 돌봄에 대하여
    2. 좋은 돌봄이란 무엇인가
    3. 한살림 돌봄
    4. 남은 과제들

    9장 돌봄 경제: 돌봄의 돌봄에 의한 돌봄을 위한 /정규호
    1. 돌봄과 경제 다시 보기
    2. 돌봄 경제란 무엇인가?
    3. 돌봄 경제는 왜 중요한가?
    4. 전환 사회와 돌봄 경제

    10장 돌봄 정치가 온 길, 나아갈 길 /이나미
    1. 돌봄 정치가 등장하기까지
    2. 동서양 돌봄 정치의 역사
    3. 돌봄 정치의 새로운 접근과 대안들
    4. 돌봄 정치의 과제들

    부록 생명학연구회 집담회: 생명학은 돌봄을 어떻게 볼 것인가?